구포동 (부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포동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다. '거북이 갯가'라는 의미의 지명 유래는 범방산의 거북이 형상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낙동강 3대 나루터 중 하나로 수로 교통과 교역의 중심지였다. 1943년 동래군 구포읍 구포리에서 시작하여, 부산직할시 편입 및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의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과학기술대학교가 위치하고, 경부선 구포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명역, 구남역, 3호선 구포역이 지나간다. 천연기념물 제309호인 부산 구포동 당숲이 있으며,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북구의 법정동 - 만덕동 (부산)
만덕동은 임진왜란 피난민 설화에서 유래된 부산광역시의 동으로,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지나고 아파트 단지들과 만덕사지 등의 명소가 있다. - 부산 북구의 법정동 - 화명동
화명동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위치하며, 밝게 빛나는 이름의 유래를 가진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볼거리와 휴식 공간, 교육 시설 및 아파트 단지가 밀집된 지역이다. - 부산 북구의 행정 구역 - 북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북구는 부산광역시의 16개 구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8년 신설되었으며, 5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2015년 기준 약 31만 명이 거주하고, 부산 도시철도 2, 3호선이 주요 교통수단이며, 중국 자오저우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 부산 북구의 행정 구역 - 만덕동 (부산)
만덕동은 임진왜란 피난민 설화에서 유래된 부산광역시의 동으로,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지나고 아파트 단지들과 만덕사지 등의 명소가 있다. - 1979년 폐지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 1979년 폐지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구포동 (부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포1동 |
한자 표기 | 龜浦1洞 |
영문 표기 | Gupo 1(il)-dong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
시군구 | 북구 |
세대 | 6,149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16136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면적 | 1.14 |
법정동 | 구포동 |
통 | 22 |
반 | 100 |
동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1762번길 75 |
홈페이지 | 구포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구포2동 |
한자 표기 | 龜浦2洞 |
영문 표기 | Gupo 2(i)-dong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
시군구 | 북구 |
세대 | 11,946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25098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면적 | 2.91 |
법정동 | 구포동 |
통 | 34 |
반 | 168 |
동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북로663번길 23 |
홈페이지 | 구포2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구포3동 |
한자 표기 | 龜浦3洞 |
영문 표기 | Gupo 3(sam)-dong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
시군구 | 북구 |
세대 | 10,073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19506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면적 | 1.47 |
법정동 | 구포동 |
통 | 30 |
반 | 136 |
동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 118번길 23 |
홈페이지 | 구포3동 행정복지센터 |
2. 지명 유래
구포(龜浦)라는 지명은 '거북 구(龜)' 자로 시작하므로 거북이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그중 《양산군지(梁山郡誌)》에는 "창(倉)을 설치하였으므로 남창(南倉)이라고 하며 범방산(泛舫山) 한 줄기가 낙동강을 향하여 머리에 돌을 이고 있는 모습이 거북이와 같다."라는 기록이 있다.[1]
1943년 10월 1일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구포리였다.[1]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동으로 편입되었다. 1978년 2월 15일 부산직할시 북구 구포동으로 변경되었다. 1979년 8월 8일 구포동이 구포1동과 구포2동으로 분동되었다. 1994년 7월 1일 구포1동에서 구포3동이 분리되었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으로 현재에 이른다.
부산과학기술대학교가 있다.
경부선 구포역(KTX 정차)이 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명역, 구남역이 있고,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이 있다.
부산 구포동 당숲은 천연기념물 제309호이다.[1]
유림E&C에서 건설한 구포 유림노르웨이숲이 구포동에 2005년 6월에 입주하였다.
여기서 범방산은 백양산(운수산) 줄기로서 강변 쪽으로 뻗어 내린 구포의 남쪽 구남마을 뒷산을 말한다. 현재 모라동 쪽에서 구포도서관, 백양고, 구포중, 모라중이 있는 곳으로 뻗어 내려 구포초등학교까지 이어지는 산이다.
이 산의 형상을 강 건너 쪽 멀리서 바라보면 거북이의 머리와 몸체를 빼닮았다. 범방산 능선에는 여러 바위들이 소나무와 얽혀 있는데, 《양산군지》의 기록처럼 머리에 돌을 이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범방산을 구포 본 동네에서 쳐다보면 산등성이에 거북이 형상을 한 큰 바위가 산으로 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처럼 거북이 형상을 한 산줄기에 거북바위까지 있어 구포 사람들은 이 산을 거북산이라고 부르는데, 구포의 지명이 여기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옛날 바다의 거북이가 겨울에도 따뜻한 기운이 있어 이를 보고 사람들이 바다의 거북이가 물가 모래밭에 구멍을 파고 겨울잠을 자면서 쉬어가는 곳이라 하여 구포 지명의 유래를 설명하기도 한다. 그래서 거북이가 쉬어가는 갯가로서 "거부개" 즉 "龜浦"라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구포를 감동진, 감동나루로 불렀는데, 이 감동진나루는 낙동강 3대 나루터 중 하나로 수로교통과 교역의 시작점이었다. 강변 언덕 위에는 정부의 세곡(稅穀)을 보관하는 남창(南倉)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래서 구포 감동나루가 있는 이곳의 행정 지명이 양산군 좌이면 남창리였다.
남창을 배경으로 강변에서부터 안쪽 넓은 공터에서 구포장(場)이 섰는데, 장타령에 나올 만큼 큰 장터였다. 곡물선과 상선, 어선들이 드나들면서 크게 번창했는데, 근세에 이르기까지 낙동강 수로교통의 시작점으로서 구포는 널리 알려져 왔다.[1]
3. 역사
4. 교육
5. 교통
6. 문화재
7. 주거
7. 1. 아파트
유림E&C 구포 유림노르웨이숲 (구포동): 2005년 6월 입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